[경남신문 기고] 김성열 교수
[경남신문 기고] 김성열 교수
  • 경남대인터넷신문
  • 승인 2014.06.03 17: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떤 사람이 교육감이 돼야 하는가?

 

 
  내일 동시 지방선거에서 경상남도 교육을 앞으로 4년간 이끌어갈 교육감도 함께 선출한다. 지난 2010년 선거에서 경쟁했던 3명의 후보가 이번에도 유권자의 선택을 기대하면서 나섰다. 초기에는 후보들이 자신의 정책과 장점을 널리 알리면서 유권자의 마음을 잡기 위해 노력했다. 그런데, 후보들은 선거 막바지에 이르면서 각종 의혹을 제기하는 네거티브 방식에 주력하는 듯하다. 다른 공직 후보자들보다 더 이전투구식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후보들이 당선만을 목적으로 하다 보니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선거과정과 선거운동이 지니는 교육적 효과를 잊어버리고 있는 듯하다.

  우리 유권자들은 교육감 후보들의 그러한 행태가 안타깝고 아쉽지만 선택을 해야 한다. 물론 기존의 입후보자가 맘에 들지 않는다 하여 새로운 입후보자를 찾을 수도 없다. 이러한 점에서 선거는 최선의 후보를 택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최악을 피하고 차악을 택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공직자의 기본적인 자질에 더해 교육감으로서 실천적 역량을 얼마나 더 갖추고 있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경남교육감은 ‘교육대통령’이라고 불릴 정도로 유치원과 초·중등교육과 평생교육 및 학예에 관한 중요한 사항을 관장하는 교육의 최고책임자이다. 4조원에 이르는 교육예산을 편성하고 집행한다. 수많은 유치원과 초·중등교원의 전보·승진 등의 인사권을 행사한다. 소규모 학교의 폐교 여부와 학교의 설립 허가, 어디에 학교를 지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교육감 직은 이렇게 중요하다. 특정의 실천적·전문적 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만이 할 수 있다. 우선, 어느 후보가 창조적 정책가로서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야 한다. 경남교육의 이상과 비전을 제시하면서 목표 자체를 새로 만들어가는 사람을 가려내야 한다. 또한 중앙과는 교육정책 예산을 확보하는 능력을 갖춘 후보, 지역에서는 도지사 등의 자치단체장, 지방의원들을 설득해 교육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후보여야 한다.

  우리는 누가 열린 마음으로 지역민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인지 따져 보아야 한다. 자신의 전문성을 과신하면 독선과 아집에 흐를 가능성도 없지 않다. 교육감은 개방적인 마음으로 널리 의견을 구하면서 관련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조정해 나갈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우리 유권자들은 내일 선거에서 어떤 후보가 공직자로서 갖춰야 할 기본적 자질과 더불어 교육감으로서의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 제대로 가려내야 한다. 그래서 선거후 교육감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을 뽑았다는 자부심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위 글은 경남신문 2014년 6월 3일(화)자 22면에서 전재한 기사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