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신문 칼럼] 권영훈 창업보육관장
[경남신문 칼럼] 권영훈 창업보육관장
  • 경남대인터넷신문
  • 승인 2017.03.06 09: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업보육센터의 역할과 과제

 

  전국엔 기술창업자를 발굴·육성함으로써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2016년말 현재 총 267곳의 창업보육센터(이하 BI)가 운영되고 있다. BI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바탕으로 주로 대학이나 연구소가 보유한 연구 인력과 장비, 지원 공간을 활용하고 있다. 5500여개의 창업기업이 입주돼 있으며 고용과 매출 증가율도 매년 2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경남의 18개 BI를 통해서도 매년 약 300개의 창업기업들이 보육되고 있으며 800억원 이상의 매출과 850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이는 BI 입주 대상이 창업 후 3년 이내의 기업임을 감안한다면 의미있는 성과다. 이들 입주기업들은 대부분 5년 뒤에 지역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게 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하게 된다.

  현장에서 본다면 창업자는 산업적 약자라고 할 수 있으며,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선 이들을 도와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오히려 너무 다양한 지원사업들로 인해 부서간의 혼선이 발생하는 것처럼 비쳐질 수 있으며, BI에 입주하지 않은 창업기업들은 관련 정보를 몰라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최근 경남창조경제센터에서의 창업정보지원 포털 제작 움직임은 반갑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점은 창업보육매니저들의 역할이다. 창업기업들은 보육매니저들을 통해 입주기업들이 성장한다는 점에서 역량강화 노력과 직무 안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제도적 안전장치가 필요한 이유다.

 


  이런 BI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 창업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은 중소기업청으로 일원화 해야 할 것이다. 창업기업에 대한 현상과 지원문제는 전문 지원창구인 중소기업청이 가장 적절하며 각 지방청의 역할이 더욱 강조돼야 한다.

  둘째, 정부의 창업에 대해 장기적 시각과 함께 BI의 변화도 필요하다. 과거와 같이 비교적 싼 임대료를 통한 공간 제공이 목적인 1,2세대 창업체계에서 투자와 글로벌화를 도모하기 위한 3, 4세대 창업보육모델로 변화하기 위한 BI들의 자구적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BI가 대학교와 연구소의 부설기관 형태로 설립, 운영된다는 점에서 각 기관이 공간과 인력의 제공에서 벗어나 투자유치와 연구실창업지원, 매니저 역량강화 및 직무안정성 지원에 전향적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넷째, BI와 외부 유관기관과의 유기적 연계체계의 구축이다. 창조경제센터의 정체성 확립이 이루어진다면 창업지원의 일관공정 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기존 BI들의 약점이라고 할 수 있는 투자유치를 위해 벤처캐피털, 엔젤투자클럽, 엑셀러레이터와의 연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마지막으로, BI 지원인력의 역량과 전문성이 더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BI의 기본은 우수한 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용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지원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시장의 흐름과 기술의 동향 그리고 정책의 방향을 읽을 수 있도록 역량과 전문성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위 글은 경남신문 2017년 3월 6일 (월)자 22면에 전재한 기사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