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일보 칼럼] 정일근 교수
[경상일보 칼럼] 정일근 교수
  • 경남대인터넷신문
  • 승인 2016.09.23 0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땅에 발 딛고 살기 힘든 시간을 보내며

  처음 느끼는 지진에 시민 불안감 고조

  ‘생존가방’ 짊어지고 살아가는 이시대

  정부는 신속정확 대처로 길잡이 돼야

 

  지난 강진 때 허둥거리다가 발뒤꿈치를 조금 다쳤습니다. 처음 겪는 일이라지만 내 집 내 방에서조차 아무런 ‘길’을 몰라 생긴 땅의 ‘경고’였습니다. 안 그래도 느린 걸음인데 바깥나들이 때마다 신경이 쓰입니다. 제 꼴이나 지진에 대처하는 세태나 요즘 같은 꼴입니다. ‘허둥지둥 뒤뚱뒤뚱’ 그것이 지금 우리의 모습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는 너무 비대해진 ‘덩치’에 꽉 쪼이는 신발을 신고 살고 있다는 걸 이번 지진으로 알게 된 것이지요. 이러다가 그대로 넘어지면?

  지진 발생지역이 울산에서 가까운 경주 내남이라 것이 저는 걱정이었습니다. 제 걱정에 답을 알려주는, 지진인지 여진인지 모를 지진이 양산단층을 따라 내려오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내남에서 울산은 아주 가까운 거리입니다. 그리고 그 가까이에 우리가 자랑하고 사랑하는 국보 제147호 천전리 각석과 제285호인 반구대 암각화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지진이 남하하는데 무탈한지 궁금해집니다. 그 인근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 64호인 은행나무의 안부도 궁금합니다.

  지진 이후 저 역시 ‘닥터 둠’(비관론자)이 돼버렸습니다. 우리가 사는 이 21세기가 바벨탑 같이 보입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여전히 코앞의 지진 걱정보다 더 크고 더 높은 탑을 쌓기 바쁩니다. 하지만 영광이든 고난이든 한꺼번에 흔들어버릴 위험이 우리 가까운 땅 밑에서 꿈틀거리고 있다는 ‘현재진행형’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항상 경계하고 늘 대비해야 합니다. 아니, 앞으로 이 땅에 살기 위해서는 등에 항상 짊어지고 살아가야 하는 ‘생존가방’이 생겼다는 걸 절대 망각해서는 안 됩니다.

  불안을 토로하면 일본의 예를 드는 물색없는 잔소리에는 화가 납니다. 일본 국민들 보라고 합니다. 일본 국민은 지진에 얼마나 차분한지를 예를 듭니다. 그 차분함에는 신뢰하는 정부와 늘 훈련돼왔던 준비가 있다는 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입니다. 처음 느끼는 공포에 불안해하는 국민에게는 빠르고 정확한 ‘길’을 먼저 안내해야 하는 것이 정부의 일입니다. 국가는, 지방자치단체는 세금을 내고 사는 시민들의 안전을 제일 먼저 생각하라는 것입니다. 제발 생각하고 난 뒤 말하고,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입니다.

  가끔 지난 네팔 지진 때 봉사활동을 다녀온 현장의 모습이 어른거립니다. 벽과 담은 먼지로 사라지고 지붕이 땅까지 내려와 산산조각이 난 현장이, 일주일에 한 번 배급되는 기름을 넣기 위에 끝없이 이어져 있던 오토바이 행렬이, 불이 들어오지 않던 암흑의 밤이 찾아왔다 사라집니다. 그 추운 겨울 산속에서 찬물로 견디는 혹독한 재난의 현장은 히말라야보다 높은 산이었습니다.

  누구나 희망의 에스키스를 그리던 그리운 주소마다 폐허가 되는 걱정은 그 자체만으로 눈 뜨고 꾸는 악몽과 마찬가집니다. 황지우 시인은 ‘슬프다/ 내가 사랑했던 자리마다/ 모두 폐허다’라고 노래했지요. 그 시의 마지막에 시인은 그 폐허에서 ‘나는 이제 아무도 기다리지 않는다’고 낙담했습니다만, 기다릴 사람도 올 사람도 없어지는 일이 우리에게 있어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유비무환’이란 말이 생겼을 것입니다.

  일전에 오랜 만에 시내에 나갔다 왔습니다. 점심을 먹으러 가는 길에 또 지진이 발생했다는 소리에 놀라 갑자기 발에 힘이 바짝 들어갔습니다. 생존본능이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약속을 위해 여기저기를 다니며 다친 발의 상처 때문에 힘들었습니다. 밤에 집에 돌아오자 두 발에 동시에 쥐가 나기 시작했습니다. 그 여진이 오래가 힘들었습니다. 땅을 딛고 살기 참 힘든 시간을 지금, 우리가 우리 두 발로 견디고 있습니다. 안전하시길 바라며.

<위 글은 경상일보 2016년 9월 23일(금)자 19면에서 전재한 기사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