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동문제연구소 ․ 우드로윌슨센터 주최, 한국냉전학회 주관
극동문제연구소 ․ 우드로윌슨센터 주최, 한국냉전학회 주관
  • 월영소식
  • 승인 2020.02.10 09: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냉전사 워크숍: 냉전의 과학, 기억 그리고 체제” 개최

  우리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소장 이관세 전 통일부 차관)와 우드로윌슨센터는 6일(목) 오전 10시 극동문제연구소 평화관에서 <냉전의 과학, 기술 그리고 체제>를 주제로 냉전사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관세 극동문제연구소장의 개회로 시작된 워크샵에서 참석자들은 ▲ 한국, 미국, 소련의 사례를 중심으로 과학기술과 에너지 분야에서 냉전이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 접경지역과 분단 전시 시설을 통해 한반도에서 분단이 기억되고 기록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개최사에서 이관세 극동문제연구소장은 현재를 평가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거울로써 역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냉전사 워크샵이 냉전의 다양한 측면과 동북아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하는 뜻깊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축사에서 크리스챤 오스터만 우드로윌슨센터 공공정책․역사분과 소장은 냉전 연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핵을 포함한 과학기술의 진화와 기억과 체제와 긴밀하게 작동하는 냉전을 문제시한 워크샵이 시의적절하다고 설명했다.  

  첫 번째 세션 <냉전 그리고 과학기술과 에너지 전쟁>은 신종대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김성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관은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한국 초기 핵기술의 역사를 통해 한국에서 핵기술의 사회기술시스템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분석하였다. 김성준 연구관은 국내 원자력 사업은 ▲ 미국의 평화적 핵사용을 위한 제3세계 국가에 대한 기술 지원과 이승만 정권의 핵무기에 대한 관심을 배경으로 제도적 기반을 다지기 시작하였으며, ▲ 1960년대 안보 위기 및 주한미군 철수, 1970년대 오일쇼크 등 대외적 변수에 따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고 분석했다.   

  이정하 서울대 교수는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의 대립은 석유와 달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지적하며 ▲ 냉전 초기 미국은 마셜플랜 등을 통해 달러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중동 지역에서 석유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며 세력을 키울 수 있었으며, ▲ 이후 석유와 달러를 결합한 페트로달러 (Petrodollar) 체제와 변동환율제, 플라자 합의 등을 통해 소련에 대한 힘의 우의를 강화했다고 주장했다. 이정하 교수는 결과적으로 소련이 1980년대 후반 유가의 급등과 달러 가치 급등의 이중고를 견디지 못함으로써 붕괴되었다고 평가했다. 

  조원선 육군사관학교 교수는 상호의존론과 안보화 이론을 통해 냉전 시기 중동의 석유정치와 미국의 에너지안보가 국제정치에 끼친 영향을 분석했다. 조원선 교수는 미국과 중동국가들의 관계를 에너지 수요국과 에너지 공급국의 비대칭 상호관계로 정의하며, 중동국가들의 ‘오일무기’ 공격이 미국이 에너지와 안보를 분리하는 초기 정책에서 양자를 결합한 에너지안보정책으로 변환시킨 계기가 되었다고 분석했다.  

  두 번째 세션 <분단의 접경지 형성과 기억문화>는 백원담 성공회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전원근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는 1960년대 이후 민통선 북방에 국가전략으로 건설된 군사영농마을인 전략촌을 통해 냉전이 한반도에서 어떻게 공간적으로 재현되었는지 분석했다. 전원근 교수는 전략촌은 ▲ 한국전쟁 이후 식량증산과 국토개발의 필요성, ▲ 남북 군사충돌로 인한 군사전략적 필요성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냉전뿐만 아니라 국가-개인 관계 등 다양한 사회학적 함의를 발견할 수 있는 공간으로 평가했다.

 정영신 교수는 접경지역인 파주를 중심으로 냉전이 어떻게 도시 인프라 및 지역 사회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접경지역이라는 특성이 도시 계획에 어떻게 기입되어 있는지를 면밀하게 추적하고, 거주민의 일상의 장소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송영훈 교수는 냉전과 분단을 기억하는 예술적 장소로써 고성 DMZ 박물관을 주목한다. DMZ 박물관의 전시 비평을 통해 한국 사회가 냉전을 기억하는 방식과 접경지역이라는 공간 상상의 정치성을 문제시 하였다. 

  이번 냉전사 워크숍은 한국냉전학회가 주관하였으며, 이관세 전 통일부 차관, 백원담 성공회대 교수, 신종대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노경덕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이주영 UNIST 교수, 송영훈 강원대학교 교수, 김성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관, 최용 육군사관학교 교수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