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신문 기고] 변종현 교수
[경남신문 기고] 변종현 교수
  • 경남대인터넷신문
  • 승인 2017.01.24 09: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몽인의 과부의 노래(孀婦詞)

  조선시대에 반정으로 물러난 임금은 연산군과 광해군이다. 중종반정은 연산군의 패륜과 폭정, 두 번의 사화(士禍) 등이 겹쳐 일어났다. 그러나 광해군이 쫓겨난 인조반정에는 상반된 시각이 있다. 광해군은 인목대비가 자신이 낳은 영창대군을 왕으로 삼으려 하자 왕이 된 후 인목대비를 폐하고, 친형과 동생을 죽였다. 그러나 정치적으로는 뛰어난 면모를 보여줬다. 친명정책을 주장하던 권신들의 의견을 듣지 않고 후금(청)과 명 사이에서 현실외교를 펼쳤고, 탕평책을 펼치면서 남인인 이원익을 영의정으로, 서인인 이항복을 좌의정으로 임명했다. 그리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해 가난한 자들의 부담을 덜어주기도 했다. 그러나 측근인 이이첨과 처남 유희분, 그리고 어렸을 적 자신을 키워준 김개시를 너무 믿고 그들의 장벽에 싸여 있었던 점이 반정의 빌미를 제공했다.

  인조반정 후 반정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체포된 인물로 유몽인(柳夢寅)이 있다. 그는 상부사(孀婦詞, 과부의 노래)로 자신의 심경을 나타냈다.

  七十老孀婦(칠십노상부)

  일흔된 늙은 과부가

 


  單居守空崑(단거수공곤)

  홀로 빈 방을 지키고 있네

  慣讀女史詩(관독여사시)
 
  여사시도 익히 읽었고

  頗知姙姒訓(초지임사훈)

  어진 여성들의 교훈도 알고 있다네

  傍人勸之嫁(방인권지가)

  옆 사람이 시집가기를 권하면서

  善男顔如槿(선남안여근)

  남자의 얼굴이 무궁화 꽃 같다지만

  白首作春容(백수작춘용)

  흰 머리에 젊은 얼굴 꾸민다면

  寧不愧脂紛(영불괴지분)

  어찌 연지분이 부끄럽지 않으리

  이 시에서 시인은 광해군이 실각했다고 해도 신하로서의 도리를 다하겠다는 뜻을 뚜렷이 드러냈다. 그는 처형됐고, 광해군을 위해 절의를 지킨 유일한 신하라는 평을 받았다. 수련에서는 자신의 처지를 혼자 빈방을 지키고 있는 과부와 같다고 했다. 함련에서는 여사(女史)의 시도 외우고, 어진 여성들의 가르침도 알고 있다고 했다. 여사(女史)의 시는 절개에 관한 시이고, 임(妊)은 문왕의 어머니, 사(?)는 무왕의 어머니로, 두 분 다 어진 여성들을 일컫는 말이다. 경련에서는 옆 사람이 시집가기를 권하면서 남자의 얼굴이 무궁화 꽃 같다고 한다. 여기서 다시 시집가는 것은 인조에게 다시금 충성하라고 권고하는 말이다. 그러나 미련에서는 흰 머리에 젊은 얼굴로 꾸민다면 연지분이 부끄럽다고 하여, 자신은 시집갈 뜻이 전혀 없다고 했다. 광해군 때의 실정을 비판한 유몽인은 광해군을 위해 목숨을 바쳤다. 조선 후기 정조는 그의 억울한 죽음을 인정해 신원시켜 줬고, 의정(義貞)이라는 시호를 내려줬다.

<위 글은 경남신문 2017년 1월 24일 (화) 22면에 전재한 기사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