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국내정세는 김정은 유일영도체계 강화가 예상된다. 김정은 위원장의 생일(1월 8일), 김정일 출생 75주년(2월 16일 광명성절), 김일성 출생 105주년(4월 15일 태양절), 인민군 창건 85주년 (4월 25일), 백두산위인 칭송대회(8월 중), 김정숙 출생 100주년(12월 24일) 등 정유년의 정치행사가 잡혀 있다. 김정은 위원장을 김정일과 김일성의 동격 반열에 올려놓는 우상화작업이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핵보유국을 강조하면서 한편으로는 군사강국을 선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핵보유국의 동등한 입장에서 미북 군축협상 또는 평화협정 논의를 주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분야는 자강력제일주의와 북중 간의 교류협력을 유지하면서 6·28 조치와 5·30 방침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킬 것으로 보인다. 장마당을 통제 가능한 범위 내에서 관리하면서 생필품의 수요와 공급 균형을 유지시킬 것이다. 고위관료들에게는 공포정치를 펼치면서 주민들에게는 친화정책으로 다가가는 이중적인 접근이 예상된다.
2017년 남북관계는 변화가 예상된다.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실패했다. 남북한간 신뢰도 쌓지 못했고 대결만 조장했다. 북한의 비핵화는커녕 핵능력 고도화를 방조했다. 북한 주민들은 대남 동경심보다 적개심이 커지고 있다. 남북한 모두 지난 10년 동안 대립과 대결로 피로감에 쌓여 있다. 남한의 차기 정부 출범은 남북관계를 복원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될 것이다. 북한은 미북 대화의 분위기 조성을 위해 남북관계를 이용할 것이다. 남한은 경제위기 극복이 시급하다. 북한은 경제발전5개년전략의 성과적 달성이 필요하다. 남북한 모두 경제발전의 활로로서 남북이 함께하는 평화경제협력이 중요하다. 2∼3월 실시 예정인 한미합동군사훈련이 한반도 정세의 도전요인으로 작용될 것이다.
2017년도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 전망은 유동적이다. 미중관계의 악화가 예상된다. 트럼프 당선자의 미국 우선주의와 시진핑 주석의 민족주의는 충돌을 예고한다. 북핵문제에 대해 미국은 중국의 책임론을 주장하고, 중국은 북미 간의 직접 해결을 강조한다. 미러관계는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위 글은 경남신문 2016년 12월 30일 (금)자 23면에 전재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