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칼럼] 최동호 석좌교수
[세계일보 칼럼] 최동호 석좌교수
  • 경남대인터넷신문
  • 승인 2016.03.14 08: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주, 부끄러움을 일깨운 영혼의 거울

  동주, 오늘의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자기성찰의 자세

  부끄러움 없고 후안무치 세상에

  3월 하늘처럼 순결한 젊음 기대


  3월 1일의 하늘을 바라보며 윤동주를 생각했다. 얼마 전 영화 ‘동주’를 보았다. 윤동주시를 사랑하는 몇 분의 번개팅이 우리를 이끌어 만사를 제치고 동주를 보게 만들었다. 처음 영화화라는 것도 그러하고 과연 동주가 오늘의 세대들에게 어떻게 보일 것인가 하는 것도 관심사였다.

  흑백 화면의 음영은 우리들을 1930년대로 되돌려 놓았고, 투박한 평안도 사투리에서 당시의 생활 감정이 배어 나왔다. 동주와 송몽규의 성격적 차이를 부각시킨 이 영화는 동주를 통해 몽규를 되살려 놓았다는 점에서 성공적이다. 내성적 인간 동주와 행동의 인간 몽규의 대비는 식민지 시대를 사는 두 가지 전형적인 인간형의 제시일 것이다. 다만 동주보다는 몽규가 더 두드러져 보이게 한 것도 이준익 감독의 의도적인 연출 때문일 것이다. 몽규가 동주보다 먼저 신춘문예에 당선했다든가 제국대학에 입학했다는 사실을 부각시킨 것은 그러한 이유일 것이다. 몽규에 대해 동주가 가지고 있었을지도 모르는 일종의 열등의식을 통해 행동하는 지성으로 변신하고자 하는 동주의 모습까지 그리려 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성격적 대비는 동주의 내면으로 깊이 들어갔다기보다는 영화 전체의 초점을 약간 모호하게 만들었다.
 
  동주로 등장한 강하늘의 수려한 면모는 동주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 부족함이 없어 보이고. 몽규 역시 그의 성격에 알맞은 인물이 선정된 것 같다. 그러나 일본 후쿠오카 형무소에서의 취조 장면으로부터 시작해 영화의 많은 부분을 여기에 배치하고 있는 것은 아무래도 일본제국주의의 폭력성을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이라 하겠는데 그것이 성공적인지는 의문이다. 아마도 이 감독은 제국주의의 폭력성 탄압에 희생된 두 젊은이의 아픔을 오늘의 우리에게 재현시켜주고 싶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설정에 일단 동의하더라도 정지용이 등장해 동주에게 일본 유학을 권유한다든가 일본 여학생이 동주의 시를 영어로 번역 출판하기 위해 귀국 직전 만난다든가 하는 것 등은 사실에 어긋날 뿐 아니라 스토리 전개에 있어서도 자연스럽지 못하다. 영화를 보고나서 동행했던 분들의 의견은 대체로 ‘가슴이 아프다. 그러나 아쉽다’는 것이었다. 다행히 동주 관중들의 지속적인 호응에 힘입어 객석 점유율 상위를 기록하고 100만 관객을 넘어섰으며 뮤지컬로도 공연될 것이라고 한다.

  여기서 과연 동주가 오늘의 우리에게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그 하나는 인간의 진실과 부끄러움이며, 다른 하나는 자기 성찰이다. 시 ‘서시’나 ‘참회록’에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창씨개명까지 해야 하는 자신에 대해 윤동주는 깊은 부끄러움을 갖고 있었으며,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던 그의 섬세한 감성은 부끄러움의 진정한 의미를 우리에게 일깨워 준다. 오늘의 시대는 부끄러움이 없는 시대이다. 누가 더 많이 뜨느냐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고 그것마저 상품이 된 시대이다. 부끄러움은 사라지고 후안무치의 세상이 됐으며 물신적 세속주의에 깊이 물들어 있다. 다른 하나는 시 ‘자화상’에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자기 성찰의 자세이다. 자기를 돌아본다는 것은 진정한 자기를 찾기 위해 스스로 반성한다는 것이다. 디지털 속도의 시대를 살고 있는 오늘의 우리는 시대의 격변에 떠밀려 살고 있다. 자기를 돌아보고 생의 의미를 찾는다는 것은 자신의 존재에 가치를 부여하며 살려고 한다는 뜻이다. 부끄러움을 안다는 것은 자기를 돌아보고 자기반성의 삶을 사는 것이다. 이 양자는 결코 분리된 것이 아니다. 이 하나의 전체가 인간 윤동주로 하여금 시를 쓰게 만들었고, 오늘의 우리에게 영혼을 일깨우는 가르침을 준다. 가짜와 거짓이 판치는 세상일수록 윤동주의 시는 순결한 젊음을 비추는 영혼의 거울이 될 것이다. 3월의 하늘을 우러러보니 우리 모두는 역사 앞에서 부끄럽다.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덮어버리고 싶은 일본인들까지도 하늘을 우러러 보며 자기도 모르게 부끄러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 윤동주의 시와 삶이다.

<위 글은 세계일보 2016년 3월 14일 (월)자 30면에 전재한 기사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