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 칼럼] 최동호 석좌교수
[경인일보 칼럼] 최동호 석좌교수
  • 경남대인터넷신문
  • 승인 2015.10.12 09: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성행궁으로 돌아오며

  화성부 주변의 산을 순행하다

  경기 으뜸 성 축성한 채제공 칭송

  아버지 사모의 마음 다의적 표현

  이 시는 채제공의 ‘병진년 시축’에 있는 ‘어가가 홍범(洪範), 봉조(鳳鳥) 등 여러 산을 순행하고 밤에 화성(華城)의 행궁(行宮)으로 돌아오다’라는 시운에 화답한 것이다.

  1796년 1월 현릉원에 참배하고 동장대에서 무예를 시험한 정조는 그해 4월 28일 약원제조 심이지에게 자신은 어렸을 때부터 저녁 때까지 꿇어 앉아 있어 버선 끝과 바지 무릎 부분이 모두 헤졌고, 밤이 돼 잠자리에 들기 전까지 두건을 벗은 적이 없다고 말한 바 있다.

  험난한 세자 시절 살해 위협에 시달렸던 자신의 처지를 솔직하게 표현한 것이다. 같은 해 8월 19일 수원부성이 완성됐으며 11월 9일에는 화성성역의궤도 완성됐다. 자신의 숙원이 화성에서 이뤄지는 것을 보면서 정조는 다음의 시를 썼다.

  급하여 두리번 대지만 다시 사모하는 마음 / 皇皇瞿瞿更依依

  보이고 들리는 듯 차마 발길 못 돌리네 / 若覿如聞未忍歸

  우뚝하고 높은 산은 하늘이 내린 집이요 / 岨矣高山天與宅

  어슴푸레 원묘에선 달마다 의관을 갈아입고 / 怳然原廟月遊衣

  일천 산들은 신하들이 늘어선 뛰어난 경치 / 煙花袍笏羅千嶂

  금성탕지 성채는 경기 좌우의 으뜸이라 / 鏁鑰金湯冠兩畿

  패릉을 달려 갔다 와서 또 생각한 바 있어 / 歷騁霸陵還有意

  성황당에서 날아가던 어가를 잠시 멈춘다 / 城隍少駐六龍飛

  먼저 어버이를 그리는 정을 말하고, 이어 화성부 주위의 아름다운 풍광을 표현했다. 한나라 고제(漢高帝)를 위해 패릉에서 했던 의식을 예로 든 것은 현릉원에서도 매달 초 사도세자의 의관을 꺼내 능에서 묘로 옮기는 행사를 하고 있음을 암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처럼 전반에서는 고사를 빌어 먼저 부모를 그리는 마음을 표하고, 후반에서는 화성부의 굳고 단단한 완성을 칭송하며 다시금 망설이는 자신의 마음으로 시를 마무리하고 있다.

  일천의 산들을 신하들이 포홀(袍笏)을 들고 늘어선 것으로 형상화하고 금성탕지의 성채로 수원화성을 표현한 것은 채제공을 칭송한 것이다.

  마지막에 여섯 마리 용이 끄는 것처럼 달리던 어가를 성황당에서 멈추고 또 생각하는 것은 아버지를 생각하는 자신의 깊은 속뜻을 말한 것이다. 단순해 보이지만 겹겹의 내포가 있는 시이며, 자신의 나갈 길을 고민하는 정조의 마음은 물론 정쟁에 희생된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남다른 사모의 감정도 함축돼 있다는 점에서 다의적이다.

<위 글은 경인일보 2015년 10월 12일(월)자에서 전재한 기사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